트레이딩 시 리스크 관리 수칙
트레이딩의 기본이 되는 리스크 관리 수칙을 설명하기 전에 금융시장의 관점에서 리스크의 의미를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. 리스크란 다음과 같이 나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을 말합니다.
- 손실
- 수익률 저하, 즉 투자 또는 트레이딩 목표 수익률 달성 실패.
결국, 리스크 관리는 이러한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적용되는 통제 또는 수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를 구성하는 수칙은 크게 3가지입니다. 첫 번째는 손절의 사용입니다. 시장에 진입할 때는 잠재 리스크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합니다. 손실 발생 시 청산 시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, 이는 손실 위험을 감수할 금액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
둘째는 , 포지션 사이징, 즉 주문하려는 수량를 정하는 일입니다. 주문 수량이 1랏 또는 0.01랏인지? 포지션 사이징에서 중요한 변수는 거래당 감수할 위험이 1%, 2% 또는 그 이상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. 이것이 끝나면 위험을 감수할 pip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(즉, 진입가와 손절가의 차이를 pip 단위로 표시한 것). 이제 다음과 같이 포지션 사이즈를 계산합니다.
거래 원금 = 10,000
거래 리스크 = 2% (이 경우 200)
위험 감수 Pip = 30 pip, 즉 0.0030 .
포지션 사이즈 = 거래 리스크/위험 감수 Pip = 200/0.0030 = 66667
세 번째 리스크 관리 수칙은 위험보상비율을 따르는 것입니다. 이 말은 모든 잠재 수익은 얼마나 위험을 감수할지와 직결되어 있다는 뜻입니다. 1:3의 위험보상비율을 따른다면 30 pip 손실에 손절할 경우 수익 목표는 90 pip이 된다는 뜻입니다. 마찬가지로 1:2의 위험보상비율을 따른다면 30 pip의 위험을 감수할 경우 수익 목표는 60 pip이 된다는 뜻입니다
이것으로 트레이딩 기초 동영상 시리즈를 끝마치겠습니다.– 기술 분석 기초를 준비 중이니 지켜봐 주세요!